본문으로 바로가기

다운받은 파일이 pdf로만 저장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통의 경우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하게 됩니다.

요즘엔 pdf뷰어 프로그램도 간단한 텍스트 수정은 가능하지만,

많은 량의 문구를 수정 및 변경,편집을 하려면 엄두가 안나죠.



이럴때는 다른 오피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을 시켜주면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하죠.

오늘은 pdf파일 한글 변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문서 편집은 한글이 제일 편하긴해요.


준비물은 pdf를 열어볼 프로그램과 오피스 한글이 설치되어 있으면 되겠네요.

저장 경로와 간단한 설정 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따라하시면 금방 변환하실 수 있답니다.



먼저 가지고 있는 pdf파일을 열어주세요.

제가 가지고 있는 유틸은 ezpdf인데 설명드리는 경로는 모두 다 똑같은 기능이니 문제 없답니다.



일단 저장 방식을 변경을 해주기위해 상단에 있는 "파일"을 클릭하고 

"다른 형식으로 저장"을 선택한 후 "텍스트로 저장" 항목을 클릭해주세요.

저장 경로는 본인이 편한곳으로 지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텍스트"로 파일이 변경된 것 확인하셨나요?

확장명이 .txt 로 되어 있는겁니다. 



준비 작업은 끝났으니 이제 한글을 실행시켜주세요.

그리고 상단에 있는 메뉴중에 "파일"을 클릭하고 "불러오기"를 선택합니다.

단축키는 ALT + O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저장된 곳을 지정하기전에 하단에 있는 "모든 워드프로세서 문서"메뉴를 클릭해주세요.

하단에 있는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앞서 PDF파일을 텍스트로 변경을 했으니 당연히 같은 확장자 파일을 불러와야겠죠?

그리고 저장된 곳에서 변환한걸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텍스트 문서 종류 메뉴창이 열리고 여기에서 간단한 설정을 한번 더 해주시면 됩니다.

문자코드 메뉴에서 "기타 인코딩"을 선택하고, 유니코드 하단 목록에서 "한국(KS)"를 선택해주세요.

이상태에서 "읽기"를 누르면 끝납니다.

글꼴은 열고 나서 변경을 해도 되지만 미리 이곳에서도 바꿀 수 있답니다.



한글 오피스에서 설정이 끝나고 읽어온 문서는 위와 같이 수정 편집이 가능하게 바뀌게 됩니다.

쭉 보니까 어렵지 않으시죠?


피디에프에서 TEXT로 변환후에 한글에서 TEXT 불러온 후에 설정값만 확인하면 끝나는거죠.

피디에프 파일을 한글 변환하는 방법 이제 간단하게 해결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