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인코더로 동영상 자막 합치기 방법!
동영상을 스트리밍 웹사이트에서 추출 프로그램을 통해 다운을 받으면 대부분 자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토렌트에서 다운 받은 영화나 기타 동영상 중에서는 자막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거나
한글 자막이 없을때는 별도로 검색을 통해 자막 파일만 별도로 받을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운 받은 동영상 파일을 컴퓨터에서 재생할때는 상관없지만 스마트폰,TV 등 다른 기기로
옮겨서 보기 위해 자막을 합쳐서 다른 확장자 포맷으로 인코딩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카카오인코더 동영상 자막 합치기 방법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몇몇 블로거들이 알려주지 않는 팁도 같이 알려드릴테니 동영상 자막 합치기 쉽게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카카오인코더는 네이버 자료실을 통해 다운을 받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주 오랫동안 업데이트를 안하다가 올해 6월에 진행해서 최신 버전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설치 과정은 단순해서 패스하는데 광고도 없어서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인코더를 실행하면 초보 사용자를 위해 상단에 사용법이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동영상 자막 합치기를 하기 위해 "파일 추가"를 눌러서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위 스샷과 같이 자막 항목에 X라고 나와 있다면 정상적으로 자막을 합칠 수 없습니다!!
자막 항목에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O"로 되어 있어야 인코딩 후에 자막을 합칠 수 있는거죠.
많은 분들이 이 부분에서 답답함을 느끼는데 정상적으로 동영상을 다운 받고
폴더에 자막 파일도 있는데 X로 보여서 이걸 어찌해야 난감해 하더라구요.
해결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위와 같이 보통 영화 파일을 받으면 자막 폴더가 분리된 경우가 은근 많이 있습니다.
이럴때는 자막 폴더에 있는 파일을 복사 OR 잘라내기 후에 영상 폴더에 붙여넣기를 해줍니다.
그리고 자막 파일명을 재생되는 영상의 파일명과 동일하게 변경하면 동영상 자막 합치기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름 바꾸기는 파일에 마우스 우클릭 "이름 바꾸기"를 눌러 복사후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자막 항목에 O로 변경을 해준 다음 "현재 설정값 변경"을 눌러서 설정창을 띄웁니다.
이곳에서 비디오,오디오 설정과 함께 "자막 사용"에 반드시 체크를 해줍니다.
옵션 설정이 끝나면 "적용"을 누르고 저장 폴더 경로를 지정하고 "변환 시작"을 클릭합니다.
카카오인코더 동영상 자막 합치기 인코딩 과정은 위와 같이 간단합니다.
원본 파일 크기에 따라 인코딩 하는데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