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오피스 프로그램은 엑셀이죠.
가끔은 pdf파일을 엑셀로 변환을 해야 될때가 있습니다.
원본이 pdf인 경우에 엑셀에서 열어서 문서를 수정하거나 다시 작성을 할때가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은 있기 때문이죠.
아무리 호환성이 좋은 pdf라고 하더라도 수정은 어렵기 때문에 다른 파일 형식으로 저장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pdf 엑셀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두가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과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자주 사용한다면 설치를 하고 필요할때마다 변환을 하는게 좋겠고 그게 아니라면 웹사이트에서 이용하면 되겠죠?
먼저 웹사이트를 이용해 변환하는 방법부터 알아볼게요~!
네이버 검색창에 "스몰피디에프" 입력하고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고 이동합니다.
너무 유명한 곳이라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있는 곳입니다.
여기에서 "PDF to Excel"메뉴를 클릭합니다.
파일은 드래그를 하거나 폴더에서 찾아서 업로드를 해주면 자동으로 변환을 시작합니다.
원본 파일의 크기에 따라,컴퓨터의 사용환경에 따라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환이 완료되면 다운로드 파일을 클릭하여 저장 경로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스몰피디에프 사이트에서 변환을 할 경우에는 호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미지는 안보입니다.
오로지 텍스트만 보이기때문에 이미지가 있는 pdf원본 파일이라면 별도로 이미지 추출을 해야합니다.
두번째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변환을 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pdf프로그램중에 제일 괜찮았던 nespdf입니다.
마찬가지로 네이버 검색창에 "nespdf"를 입력하고 자료실에서 다운을 받아 설치를 하면 됩니다.
설치함에 어려움은 없습니다.
주의 사항은 개인은 그냥 써도 되지만 기관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려면 라이센스를 구입해야 합니다.
실행을 하면 바로 메인 화면에서 "열기"를 클릭하고 파일을 업로드를 합니다.
업로드한 파일은 상단에 있는 "파일" 메뉴를 클릭한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항목을 선택합니다.
파일 형식에서 xls로 선택해주고 저장을 하면 엑셀파일로 변환을 합니다.
nespdf는 스몰피디에프와는 다르게 호환작업이 진행되어 이미지가 첨부된 원본 pdf파일도 같이 보여줍니다.
이 부분은 참 좋더라구요.
비단 엑셀로 변환을 하는걸 떠나서 피디에프 파일을 자주 변환하거나 사용한다면 설치하는것도 괜찮답니다.
필요할때마다 실행해서 파일 형식만 원하는걸로 저장하면 끝나기 때문이죠.
이것으로 pdf 엑셀 변환 두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