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번호와 함께 기존에 사용하던 주소지가 도로명으로 바뀐건 알고 계실거에요.
어떤게 더 편하신가요?
바뀐 정책으로 도로명 주소가 편한 분들도 계실테고 예전처럼 번지수를 이용하는게 편한 분들도 있을거에요.
저야 둘다 기억을 하고 있어서 불편함은 없지만 가끔 기억이 안날때가 있을거에요.
오늘은 번지수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로명 주소만 사용하다보면 번지수가 기억 안날수도 있으니 깜박했다면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1분도 안걸리니까 확인후에 바로 검색해보세요~!
네이버 검색창에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을 입력한 후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웹사이트로 들어가면 상단에 "도로명주소를 생활화 합시다"라는 문구를 보게 될텐데 생활화 하고 계신가요?ㅎㅎ;;
바로 아래에 검색창에 알고 있는 주소지를 입력한 후 "검색"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 같이 결과값이 나옵니다.
번지수로 입력하면 도로명으로, 도로명을 입력하면 번지수를 보여줍니다.
우측에 있는 부가정보 메뉴에 있는 "더보기"를 클릭합니다.
요즘 해외사이트를 통해 직구를 하는 분들도 많이 계실거에요.
이곳에서 영문주소도 확인을 할 수 있어서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혹시라도 영문주소가 필요하다면 이곳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두번째로 네이버 검색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해당 기능은 지방인 경우에는 세부적인 항목을 찾아볼수가 없더군요.
예를 들어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나 빌라를 입력하면 주소지를 보여주는데 지방의 경우는 그렇지 않더라구요.
제가 사는 곳이 시골이라 그런지 주소지는 나오지 않고 그냥 입력값만 보여줍니다.
사는 곳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처음에 알려드린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사이트를 이용하는게 좋을거에요.
이것으로 번지수 조회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주소지를 깜박 잊었다면 바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