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터넷 뱅킹 업무를 보거나 공공기관에서 프린트 및 열람을 하기 위해서는 본인 인증과 함께

공인인증서는 필수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일반 공인인증서는 주거래 은행 웹사이트로 들어가서 시크릿카드와 계좌번호로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상거래등을 웹에서 이용할때 결제 및 기타 상황에 따라 범용공인인증서가 필요할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은행별로 범용공인인증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료로 발급받는 공인인증서와 다르게 범용공인인증서는 유료로 4,400원이 필요합니다.


사용범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국정보인증"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발급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이왕이면 다시 환급을 받을 수 있도록 기간제지만 무료로 사용하면 더 좋겠죠?

환급이 가능한 곳은 국민은행으로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국민은행 인터넷뱅킹 웹사이트로 이동하고 "공인인증센터"를 클릭합니다.



"인증서 발급/재발급"에서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개인용인증서 발급 메뉴에서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국민은행 통장이 있어야 사용가능합니다.

이제 로그인을 한 후 인증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



인증서 종류에서 "범용"에 체크를 합니다.

부가세 포함 금액인 4,400원이 필요하고 유효기간은 1년으로 일반 공인인증서와 동일합니다.

사용이 제한된 일반용에 비해 필요에 의해 웹상에서 거래 및 정보 기관 민원서비스를 이용할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단에 있는 안내를 보면 "7일 이내에 폐기시 환급가능"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급할때 만들고 폐기를 하면 수수료를 회수할 수 있다는거죠.

이후 발급받는 과정은 일반 공인인증서와 동일하게 순서대로 안내해주는 내용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참고로 농협의 경우는 1년 사용후에 재발급을 할때 수수료가 추가로 들지 않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죠? 어떤게 좋을지는 본인의 사용범위를 생각하면 국민은행이나 농협 둘중에 한곳에서 선택을 하시는게 좋겠네요.

또한 가끔씩 이벤트 형식으로 "무료"로 범용공인인증서를 발급할때도 있습니다.

이건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이용하기 애매하니 이런게 있다는거 정도만 알고 계셔도 됩니다.



국민은행 공인인증서 메뉴에서 "인증서 폐기"를 통해 "수수료 환급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환급은 일주일 이내에 폐기할때 적용되니 발급 받은 날짜부터 계산을 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범용공인인증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찌됬던 수수료는 들어가는 부분이지만 잠시 쓸지 오래쓸지에 대해 결정하고 국민은행이나 농협에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