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이나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끊김 현상이 발생하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요즘엔 예전보다 덜하지만 인터넷 초창기에는 수시로 발생했었다죠.
아무리 인터넷 사용환경이 개선됬다고 하더라도 본인이 사용중인 컴퓨터의 인터넷이 끊긴다면 정말 짜증납니다.
오늘은 인터넷 끊김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몇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윈도우 내의 시스템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천천히 보시면 어렵지 않을거에요.
설정을 변경하기에 앞서 본인이 사용하는 인터넷 제품의 속도 측정을 벤치비등을 통해 테스트를 해봅니다.
심하게 핑이 높거나 손실 데이터가 많다면 사용하는 인터넷 제품 고객센터를 통해 A/S를 받는게 좋습니다.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터넷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면 다음의 방법을 하나씩 적용해봅니다.
1. 랜카드 설정 변경
윈도우 시작키를 누르고 "ncpa.cpl"를 입력하고 로컬 영역으로 이동합니다.
로컬 영역 메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로컬 영역 속성 항목에서 "Internet Protocol Version 6 (TCP/IPv6)" 체크해제를 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2. IPv6 비활성화하기
윈도우 시작키를 누르고 "regedit"를 입력하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이동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메뉴창이 열리면 좌측에 있는 폴더를 다음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CPIP6▶Parameters
Parameters폴더 우측에 있는 항목에서 Disabledcomponents파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저의 경우는 있지만 없는 분들은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새로 만들기"에서 "DWORD(32비트)"을 클릭합니다.
새 값 파일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이름 바꾸기를 눌러 "Disabledcomponents"로 변경합니다.
다시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수정"을 클릭합니다.
편집창이 열리면 값 데이터 항목에 "1"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3. 전원 옵션 설정 변경
윈도우 시작키를 누르고 "전원 옵션"을 입력하고 이동합니다.
전원 옵션 창이 열리면 우측에 "추가 전원 관리 옵션"을 클릭하고 "고성능"으로 변경을 해줍니다.
4. 절전형 이너넷 기능 끄기
윈도우 시작키를 누르고 "장치 관리자" 입력을 한 후 이동합니다.
장치관리자 메뉴창이 열리면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본인이 사용하는 랜카드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속성 창에서 "고급" 탭을 클릭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Energy Efficient Ethernet)"을 선택합니다.
값 항목을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절전형 이너넷을 끄는건 랜카드가 리얼텍일때 해당 메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끊김 현상을 개선시킨 분들을 알아보니 4번 방법이 제일 좋았다고 합니다.
특히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변경하시면 좋습니다.
위의 방법을 적용을 해도 개선이 안된다면 인터넷 회선이 문제이거나 공유기,랜카드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랜카드야 얼마 안하지만 직접 교체를 하지 마시고 그냥 인터넷 A/S를 받는게 제일 속편할거에요.
이상으로 인터넷 끊김 현상 발생시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답답하신 분들은 적용시켜보고 스트레스에서 해방되시길 바랍니다.